부동산 상식 아파트 평수 계산법 전용면적 공급면적 차이 쉽게 이해하기

집을 알아볼 때 가장 중요한 정보 중 하나는 바로 넓이입니다. 제곱미터와 평 사이에서 헷갈리셨다면, 오늘 이 글이 명쾌한 해답을 드릴 것입니다.

나만 쓰는 우리 집 공간 전용면적 의미

나만-사용하는-공간인-아파트-전용면적을-보여주는-아늑한-3D-거실과-주방-이미지.

우리 집 현관문을 활짝 열고 들어서면 오직 우리 가족만을 위한 공간이 펼쳐지지요? 바로 그 공간이 전용면적입니다.

이해하기 쉽게 말씀드리면,

  • 우리 가족이 편히 쉬는 거실
  • 맛있는 음식을 만드는 주방
  • 잠을 자고 옷을 두는 안방과 작은방들
  • 개인적인 용무를 보는 화장실

이렇게 나만 쓰는 우리 집 안의 모든 공간을 합한 것이 바로 전용면적입니다. 마치 옷을 살 때, 다른 사람과 나눠 입지 않고 오직 나만 입을 수 있는 내 옷의 실제 크기를 재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만, 베란다(발코니)는 우리 집 전용 공간이 아닌, 잠깐 쓰는 ‘서비스 면적’이라서 전용면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베란다를 넓게 확장해서 쓰신다고 해도 법적으로는 여전히 서비스 면적으로 분류되지요.

이 전용면적은 우리 집을 사고팔 때의 실제 집값을 따지거나, 내야 할 세금을 계산할 때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되니 꼭 알아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다면 우리 집 전체를 뜻하는 공급면적은 무엇이며, 왜 전용면적과 다르게 보아야 하는지 다음 장에서 자세히 알아볼까요?

함께 쓰는 공간 공급면적 차이점 확인

이웃과-함께-쓰는-아파트-공동-공간인-복도와-엘리베이터를-보여주는-3D-공급면적-이미지.

전용면적은 우리 가족만 사용하는 개인 공간이었죠. 그런데 공급면적은 이 전용면적에 더해서, 우리가 이웃들과 함께 쓰는 공간까지 합한 넓이를 말합니다. 아파트 내에서 계단이나 승강기(엘리베이터), 복도처럼 주민 모두가 공동으로 이용하는 곳들이 여기에 포함돼요.

예를 들어, 우리 집 안방이나 거실은 전용면적이지만, 현관을 나서서 이용하는 복도는 아파트 주민 모두가 함께 쓰는 곳이지요. 마치 김치를 담글 때, 우리 집에서 먹을 김치 양에 옆집에 나눠줄 김치 양까지 더해서 전체 양을 계산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부동산에서 “몇 평 아파트”라고 이야기할 때는 대부분 이 공급면적을 기준으로 삼는답니다. 이것 때문에 광고 평수보다 집 안이 작게 느껴질 때가 있지요. 내가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살림 공간이 얼마나 되는지 정확히 파악하려면, 공급면적과 우리 집만의 전용면적의 차이를 꼭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좀 더 자세히, 우리집 넓이를 정확하게 따져보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우리 집 평수 제곱미터 쉽게 계산하는 법

제곱미터와-평수-전환을-쉽게-설명하는-3D-계산기와-줄자-이미지.-우리집-평수-계산법.
어르신들께는 ‘평’이라는 단위가 아주 익숙하시죠? 예전에는 아파트나 땅의 크기를 이야기할 때 주로 ‘평’을 썼는데, 지금은 법적으로 ‘제곱미터(㎡)’라는 단위를 사용한답니다. 우리 집 넓이를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이 두 단위를 서로 바꾸는 방법을 알아두면 편리해요. 마치 옷을 살 때 한국 사이즈와 외국 사이즈를 비교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가장 중요한 변환 공식은 이것입니다.
1평은 약 3.3 제곱미터(㎡)입니다.
• 반대로 1 제곱미터(㎡)는 약 0.3025 평입니다.

예를 들어, 30평 아파트라면 30에 3.3을 곱해 약 99㎡가 됩니다.

그렇다면, 복잡한 계산 없이 대략적인 평수를 알아보는 쉬운 방법도 알려드릴게요. 만약 우리 집이 60 제곱미터라고 적혀 있다면, 이걸 3으로 먼저 나눈 다음, 나온 값에서 약 10% 정도를 빼보세요.
60 ÷ 3 = 20. 여기서 20의 10%인 2를 빼면 18평 정도가 됩니다.
가장 정확한 방법은 그냥 제곱미터를 3.3으로 나누는 것이랍니다. 이제 다음은 우리 집 면적을 나타내는 중요한 두 가지 용어, ‘전용면적’과 ‘공급면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아는 만큼 보이는 우리집 넓이 상식

부동산-아파트-도면을-확대경으로-살펴보며-우리집-넓이를-파악하는-3D-이미지.

우리 집의 진짜 크기를 정확히 아는 것은 마치 시장에서 물건을 살 때 원산지나 내용량을 확인하는 것과 같습니다. 겉으로만 보고 판단하는 것보다, 전용면적과 공급면적의 의미를 제대로 알아야 우리 집의 가치를 바르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흔히 말하는 59㎡(제곱미터) 아파트84㎡ 아파트라고 해도, 어떤 면적을 기준으로 하는지에 따라 실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의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이지요.

이 지식을 알면, 집을 보러 갈 때나 계약할 때 혹시 모를 손해를 미리 막을 수 있고, 우리 가족에게 정말 필요한 넓이가 어떤 것인지 현명하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몇 평’이라고만 듣기보다, 실제 쓰임새와 연관된 면적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이렇게 아는 만큼 우리 집이 더욱 넓게 느껴지고, 부동산 거래 시에도 든든한 마음으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다음 장에서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평’이라는 단위와 제곱미터(㎡)를 어떻게 쉽게 변환하고 계산하는지, 실제 사례를 들어 더욱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마무리

전용면적과 공급면적, 그리고 평수 계산법을 아는 것은 실제 우리 집의 넓이를 정확히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제 숫자만 봐도 공간감을 쉽게 가늠할 수 있으니, 이 지식을 활용하여 현명한 부동산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